본문 바로가기

라이브러리

[Python] chr() 함수 사용법

chr() 에 대하여 자세하게 알아봅시다

chr() 함수란?

chr() 함수는 정수(Unicode 코드 포인트)를 받아, 그에 해당하는 문자(문자열)를 반환합니다. 역으로 작동하는 함수는 ord()입니다. 이 함수는 주로 Unicode 값을 문자로 변환할 때 사용됩니다.

  • 문법: chr(i)
  • 인자: i (정수, 0 ~ 1,114,111
    즉 0 ~ 0x10FFFF, 유효한 유니코드 코드 포인트)
  • 반환값: 해당 코드 포인트의 문자(문자열)

chr() 기본 사용법 예시

# 예시 1: 아스키 코드 65에 해당하는 문자
print(chr(65))  # 출력: A
# 예시 2: 유니코드 코드 포인트 44032 (한글 '가')
print(chr(44032))  # 출력: 가
# 예시 3: 숫자를 문자로 변환하기 (반복문 활용)
for code in range(97, 100):
    print(chr(code))  # 출력: a, b, c

chr() 고급 사용법 예시

# 예시 1: 아스키 문자로 이루어진 문자열 만들기
ascii_codes = [104, 101, 108, 108, 111]
word = ''.join(chr(code) for code in ascii_codes)
print(word)  # 출력: hello
# 예시 2: 유효하지 않은 입력 값 예외 처리
try:
    print(chr(1114112))  # 범위를 초과한 값
except ValueError as e:
    print('에러:', e)
# 출력: 에러: chr() arg not in range(0x110000)
# 예시 3: 코드 포인트에서 이모지 문자 추출
print(chr(128513))  # 출력: 😁

chr() 함수 총평

chr() 함수는 정수 형태의 유니코드 값(혹은 아스키 코드)을 실제 문자로 변환하는 매우 유용한 내장 함수입니다. 문자열 처리 및 텍스트 인코딩, 디코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, 역함수인 ord()와 함께 자주 활용됩니다. 사용법도 단순하여 초보자에게 추천하는 함수 중 하나입니다.